Pages

Households urged by MAS to stay prudent when taking up debt or buying property - CNA

SINGAPORE: Most households in Singapore remain financially resilient amid the COVID-19 pandemic, although those that are highly leveraged or employed in badly hit sectors may be more vulnerable as economic uncertainties persist, said the country's central bank on Tuesday (Dec 1). 

In its annual financial stability review, the Monetary Authority of Singapore (MAS) also urged households to exercise prudence when taking up new debt or committing to property purchases. 

It noted an uncertain outlook for the Singapore economy that “could have dampening effects on income streams”. It also expects resident unemployment to “remain elevated” next year and recovery in the labour market to be drawn out.

READ: Singapore firms, households and banks need to stay vigilant amid uncertain outlook: MAS

MAS said it recognises that some homeowners could face difficulties servicing their mortgages and has worked with the financial industry to roll out relief measures earlier this year. These measures were recently extended to support cash-strapped individuals and businesses until next year. 

About 36,000 mortgage relief applications have been approved and 8,700 individuals were granted revolving unsecured debt relief as of the third quarter. 

“Given the uncertain economic outlook, households should avail themselves of these support measures if needed and factor in possible volatility in future income streams when considering large purchases and loans,” the central bank said in its report. 

“Whenever possible, they should also continue servicing or consolidating their existing obligations to enhance resilience against unexpected shocks.”

READ: IN FOCUS: After COVID-19, where are the Singapore economy, workforce headed?

“RELATIVELY HEALTHY”

The report said Singapore’s household balance sheets were “relatively healthy” at the onset of the pandemic, reflecting the financial buffers built up over the years. 

Household net wealth rose to 4.4 times of gross domestic product in the third quarter from 3.8 times a year ago, it cited as an example.

“While the increase is partly due to the fall in GDP, asset values continued to hold up despite the economic slowdown,” MAS said.

“Further, liquid assets such as cash and deposits continued to exceed total liabilities, providing households a financial buffer against income shocks.”

READ: Singapore revises growth outlook again as Q3 GDP shrinks at slower 5.8% amid COVID-19

Its simulations also suggest that Singapore households’ debt servicing burden remains manageable under stress.

Government transfers and relief measures have mitigated the impact of a sharp fall in employment and incomes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e central bank added. 

SOME RISKS

But leverage risk has edged up even though growth in overall household debt moderated. 

MAS said aggregate household debt has continued its downward trend since the introduction of cooling measures in July 2018, but nominal GDP fell by a larger margin due to the pandemic. 

As a result, household debt as a percentage of GDP rose from 63.1 per cent in the first quarter to 65 per cent in the April to June quarter before hitting 67.1 per cent in the third quarter. 

READ: COVID-19 downturn to be more prolonged than past recessions, slow recovery for jobs market: MAS

Other indicators that were mentioned include the credit risk profile of housing loans. This has remained sound, with macro-prudential measures encouraging prudent borrowing and improving equity buffer.

But as household resilience is tied to employment and income, credit risk for housing loans could increase further if the economic downturn persists, said the central bank.

The unsecured credit charge-off rate - a leading indicator for credit quality of housing loans - has crept up in the third quarter, suggesting that more households could face difficulties in housing payments, it added. 

“Close monitoring of housing loans from more vulnerable households is necessary in the upcoming months given the expectation that the labour market recovery will be protracted.” 

Turning to the property market, the report noted how rentals for private homes have moderated alongside the increase in vacancy rates.

READ: Property firms expect more transactions as physical viewings of resale flats, showrooms resume in Phase 2 reopening

Commentary: Concerned about what fall in private home sales mean? Market fundamentals paint a different story

Vacancy rates for private residential properties rose from 5.4 per cent in the second quarter to 6.2 per cent in the third quarter. Rentals declined for the second consecutive quarter during the July to September period, as the private residential property rental price index fell by 0.5 per cent. 

The weakness in rentals was observed for both landed and non-landed properties.

“Should demand for rental properties continue to fall, borrowers relying on rental income to meet their mortgage instalments on investment properties could face difficulties in repayment,” said MAS.

“Prospective buyers should accordingly factor in the possibility of further weakness in rental income when committing to purchases of investment properties.”

In the 112-page report, the central bank also urged local corporates and banks to stay vigilant and prudent as an uneven economic recovery will “impinge on jobs and corporate profits”. 

“The risk of financial stresses remains during this protracted recovery period. Continued vigilance and prudence therefore remain warranted,” it wrote.

BOOKMARK THIS: Our comprehensive coverage of the coronavirus outbreak and its developments

Download our app or subscribe to our Telegram channel for the latest updates on the coronavirus outbreak: https://cna.asia/telegram

Let's block ads! (Why?)

Article From & Read More ( Households urged by MAS to stay prudent when taking up debt or buying property - CNA )
https://ift.tt/3oaCShJ
Business

법원, 칼의 아시아나 인수 허용...KCGI 가처분 신청 기각 / YTN - YTN news

apakabarharus.blogspot.com

Let's block ads! (Why?)

기사 및 더 읽기 ( 법원, 칼의 아시아나 인수 허용...KCGI 가처분 신청 기각 / YTN - YTN news )
https://ift.tt/36prokD
비즈니스

모더나 "백신, 3상 임상시험 효과 94.1%"…곧 사용 승인 신청 / YTN 사이언스 - YTN 사이언스 투데이

apakabarharus.blogspot.com

Let's block ads! (Why?)

기사 및 더 읽기 ( 모더나 "백신, 3상 임상시험 효과 94.1%"…곧 사용 승인 신청 / YTN 사이언스 - YTN 사이언스 투데이 )
https://ift.tt/3fRovfk
비즈니스

"수능 당일 은행 오전 10시에 문 열어요" - 연합뉴스

apakabarharus.blogspot.com

은행연합회 공지…폐점시간은 오후 5시로 같아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은행연합회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일인 3일 은행 영업시간을 오전 10시∼오후 5시로 변경한다고 1일 밝혔다.

연합회는 시험일 아침 수험생, 감독관, 학부모 등의 이동으로 교통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은행 영업시간을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은행연합회
은행연합회

[촬영 이충원]

yjkim84@yna.co.kr

Let's block ads! (Why?)

기사 및 더 읽기 ( "수능 당일 은행 오전 10시에 문 열어요" - 연합뉴스 )
https://ift.tt/37grxpq
비즈니스

アップルウォッチは、そろそろデザインを変えるべきじゃない? - GIZMODO JAPAN

ディスプレイが変われば、ストラップも変わるはず...!

多くの人にとって、スマートウォッチはファッションの一部となりつつあります。そんななか、アップルウォッチのクローンみたいなデザインが多すぎると指摘してきたのは、米GizmodoライターのVictoria Song。iPhoneのデザインが変わるように、アップルウォッチのデザインも変わるべきとの考えを示しています。


2015年に発売されて以来、あらゆる進化を遂げてきたアップルウォッチですが、デザインに関していえばあまり変わっていません。が、来年ついに変わる可能性があるようです。Appleの預言者とも言われるMing-ChiKuo氏が先日発表したところによれば、来年は、シリーズ7で「革新的な健康管理機能」と「改良されたフォームファクターデザイン」が期待できるといいます。最近のウェアラブルの傾向を考えれば、前者に関しては当然の流れのようにもいえますが、後者に関しては意外ともいえます。

歴代のアップルウォッチをシリーズ0からシリーズ6、ウォッチSEまで並べてみると、多くの人にとってどれがどれなのか区別しづらいように思えます。上の画像を見ると、どれも正方形で、同じところにサイドボタンが配置されているように見えますよね。でも、たとえばセルラーモデルのシリーズ3のデジタルクラウン上の赤色ドット、シリーズ4の大きさ(2mm大きめ)、シリーズ5の常時オンスクリーン、シリーズ6のカラー展開など、シリーズによって微妙なアップデートはたしかにありました。

ただ多くの場合、アップルウォッチの各シリーズ間にある大きな違いは中身に関するもの。デザインを維持するのにはそれなりの理由もあるようです。サプライチェーンを管理しやすいだけでなく、丸みを帯びたエッジのある正方形のスマートウォッチディスプレイはアイコニックで、同社によればアップルウォッチの売り上げの大部分は新規ユーザーであり、すなわち多くの人がこのデザインに飽きることなく親しめるということになります。さらに、既存ユーザーで新モデルにアップグレードする場合、同じ周辺機器やアクセサリを引き続き使うことができることにもなります。また同じデザインであることは、アプリ開発者にとっても利点があります。もし画面の形が変われば、新しい形状に準拠するようにアプリを再設計する必要が出てきます。

201126AppleWatchRedesign2
一見同じように見えても、中身はちがう(この二つは別の年に生まれたモデル)
Photo: Victoria Song/Gizmodo

では、何故アップルはデザインを変えるべきなのか。アップルウォッチSEは10.4mmという薄さで、ほとんどのスマートウォッチよりもスリムです。このことは素晴らしいのですが、より強力なバッテリーを搭載することへの制約になったりもします。watchOS 7は初めてネイティブの睡眠追跡を導入しましたが、Fitbitなどの競合他社が提供する指標と比較すると非常に基本的な機能にとどまっています。Fitbit Senseの厚さは12.4mmで、おおよそ6日以上バッテリー寿命が持つとされています。その差は2mmですが、着用中に気になるほどの違いではないはずです。

また、正方形以外のかたち(クラシックでスタイリッシュな円形など)の選択肢があればもっと良いのに...!と思う人は少なくないのでは? 開発者にとっては複雑かもしれませんが、正方形ディスプレイへの不満の声は読者、同僚、友人たちからもよく耳にします。正方形というかたちにより、ストラップ部分が太すぎたり美しくなかったり。たとえば円形ディスプレイのSamsung Galaxy Watch 3は、アップルウォッチと同じような機能を装備しますが、見た目の美しさも評価できる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

201126AppleWatchRedesign3
Photo: Victoria Song/Gizmodo

ただ、もっとも気になるのは、他社スマートウォッチがアップルウォッチのデザインを踏襲していること。デザインという観点だけで見れば、このガジェットは少し退屈になってしまっているともいえます。アップルが新しいことをしたら、それに従うという時流があるのはたしかです。アップルがシリーズ4のECG機能のFDA認可を取得し、他企業がそれに続いたことがあったのと同じように、アップルが新しいウェアラブルのハードウェア設計を考え出すことで、スマートウォッチカテゴリで切望されていたイノベーションを刺激する可能性も期待できます。Kuo氏のいう「改善されたフォームファクター設計」が具体的にどんなことを意味するのかは現時点で明らかではありませんが、単に物理サイドボタンがなくなる、とかではありませんように!

Let's block ads! (Why?)



"それを変える" - Google ニュース
December 01, 2020 at 01:00PM
https://ift.tt/2Vj34dN

アップルウォッチは、そろそろデザインを変えるべきじゃない? - GIZMODO JAPAN
"それを変える" - Google ニュース
https://ift.tt/38cbQ1Z
Shoes Man Tutorial
Pos News Update
Meme Update
Korean Entertainment News
Japan News Update

[단독] 넥슨, 블록체인 자회사 매각... 김정주 가상화폐 넘어 '핀테크' 집중? - 조선비즈

apakabarharus.blogspot.com
입력 2020.12.01 13:51 | 수정 2020.12.01 14:19

핀테크 투자펀드 인수 이어 핀테크 업체 설립도

넥슨코리아가 블록체인 연구개발(R&D) 자회사인 ‘블록체인엔터테인먼트랩’을 매각했다. 넥슨 오너인 김정주 NXC 대표는 블록체인·가상화폐·핀테크 등에 큰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김 대표가 미래 금융 사업 중심축을 ‘가상화폐’에서 ‘핀테크’로 확장하고 있다는 분석이 따른다.

1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넥슨코리아는 지난 9월 29일 블록체인엔터테인먼트랩(이하 블록체인엔터) 지분 100%(14만5000주)를 노기태 블록체인엔터 대표에게 매각했다. 인수가는 10억원으로, 장부가 15억6400만원에서 할인된 가격이다.

김정주 NXC 대표. /조선일보DB
블록체인엔터 전신은 넥슨이 2009년 인수한 게임 개발사 ‘러시모’다. 넥슨은 2018년 러시모를 블록체인엔터로 명명하고 블록체인 관련 연구에 매진해왔다. 회사를 인수한 노 대표는 넥슨 산하 데브캣 스튜디오 출신으로, 2018년 러시모가 사명을 바꿀 때부터 블록체인엔터 대표를 맡아왔다. 그는 데브캣 스튜디오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연구해온 인물로 알려졌다.

블록체인엔터는 설립 당시 ‘넥슨 블록체인 R&D 전초기지’로 불렸다. 사업 목적은 △통신판매중개업 △온라인정보제공업 △기술연구 및 용역 수탁업 △시스템 구축사업 △전자지급 결제 대행업 △외국환거래법상의 소액해외송금법 등이다.

넥슨은 블록체인엔터에 관해 "게임의 재미를 극대화 하기 위한 블록체인 연구를 진행하는 법인"이라고 설명해왔다. 게임업계 한 관계자는 "블록체인엔터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게임 내 거래와 결제, 데이터베이스(DB) 관리 등을 주로 연구해온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고 했다.

블록체인엔터 매각에 대해선 해석이 분분하다. 넥슨 모회사인 NXC의 김정주 대표는 가상화폐·블록체인 등에 큰 관심을 보여왔다. 2016년 국내 최초 가상화폐 거래소인 코빗을 인수했고, 2018년엔 유럽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비트스탬프를 인수했다. 2018년 말엔 NXC 자회사 NXC LLC를 통해 미국 가상화폐 거래 대행업체 타고미에 투자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들어선 김 대표의 초점이 ‘가상화폐’에서 ‘핀테크’로 옮겨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 3월 NXC는 NIS인드라펀드 지분 92.23%를 1141억원에 취득했다고 밝혔다. NIS인드라펀드는 버진아일랜드에 본사를 둔 법인으로, 인도 내 비은행 금융업과 핀테크 업체 등에 투자한다.

NXC는 이어 핀테크 업체 아퀴스를 설립했다. 아퀴스는 가상화폐를 포함한 증권·금융 상품을 게임하듯 거래하는 플랫폼이다. 게임에 친숙한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를 통칭)를 노리는 발상이다.

NXC는 이와 동시에 코빗USA와 비트스탬프 일본 법인 청산에 나섰다. 이어 블록체인엔터를 매각한 것이다. 블록체인·가상화폐 계열사를 정리하고, 전통적인 금융·증권 상품을 포괄하는 핀테크로 영역 확장에 나서는 듯한 행보다.

관련 업계는 김 대표가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을 끄진 않았을 것으로 본다. 최근 가상화폐 시장은 비트코인이 역대 최고가를 경신하며 활황을 맞고 있다. 코빗은 최근 신한은행과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사업을 펼칠 계획이기도 하다. 업계 관계자는 "김 대표가 가상화폐 근간이 되는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기존 자산 거래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듯 보인다"고 했다.

Let's block ads! (Why?)

기사 및 더 읽기 ( [단독] 넥슨, 블록체인 자회사 매각... 김정주 가상화폐 넘어 '핀테크' 집중? - 조선비즈 )
https://ift.tt/2VnxXO0
비즈니스

법카로 14억 무단사용한 대리...신한카드는 3년 넘게 몰랐다 - 조선일보

apakabarharus.blogspot.com

[unable to retrieve full-text content]

  1. 법카로 14억 무단사용한 대리...신한카드는 3년 넘게 몰랐다  조선일보
  2. 대리가 법카 14억 막 쓰고 다니는데…모르고 방치한 신한카드 - 중앙일보  중앙일보
  3. Google 뉴스에서 전체 콘텐츠 보기
기사 및 더 읽기 ( 법카로 14억 무단사용한 대리...신한카드는 3년 넘게 몰랐다 - 조선일보 )
https://ift.tt/3fT0lRw
비즈니스

チャンピオンとの出合いが人生を変えたかも?[渋谷直角 男が憧れる、男の持ち物。] - 朝日新聞デジタル

多才でいてファッションフリーク、渋谷直角の愛用品からそのセンスを探ってみる──。

チャンピオンと初めて出合ったときのことは鮮明に覚えています。中2の初夏、練馬から新所沢に引っ越したばかりで、日曜に父親と行った新所沢パルコ。その中にあるジーンズショップに、チャンピオンのスウェットとソックスが売られていたのです。父親はアメリカかぶれで、お店に入るやいなや「お、チャンピオンだ」と喜び、いきなり自分用にリバースウィーブのスウェットと、僕にソックスを買ってくれました。「父親が洋服を買う、しかもテンション高い」ところを初めて見た、っていうのも印象として大きかったんでしょう。「いいんだぞ、チャンピオンは」と満足げな父親の言葉に、僕も「そうなんだ、すごいんだ!」とすっかりアメリカの一流ブランドとして認識づけられたのです。

実際、父親の着ているチャンピオンのスウェットは、自分がそれまで着ているスウェットとまるで違うと感じました。生地がゴワゴワと硬く、裾にかけてストンと落ちているシルエット。買ってもらったソックスも、リブが太くて履き心地がそれまで履いていた国産の細いリブの靴下と違う。おまけにチャンピオンの「C」マークは「直角のCでもあるじゃん!」と、一気に超フェイバリットになりました。それまでのソックスはすべて捨ててチャンピオンにして、我慢できず自分でも買ったスウェットは袖の「C」マークがなんともいとおしく、洗濯を繰り返し襟元がヨレてくると、ますます「自分が着込んだ」感が出てきてうれしくなって。服を自分で「育てる」楽しみを経験したのは、ジーンズよりも先にチャンピオンだったのかもしれません。

その後、ビンテージのチャンピオンのTシャツもまた着心地が良くてハマってしまい、「やっぱりTシャツはコットン100%より、レーヨンが10〜35%入ってるのが好きかも」なんて、素材にも気を使うように。チャンピオンって自分にものすごく影響与えてきたな。一生買います!


<<思えばずっとタイメックス。 はこちら


「アエラスタイルマガジンVOL.48 WINTER 2020」より転載

Photograph: Tetsuya Niikura(SIGNO)
Styling: Masahiro Tochigi(QUILT)

Let's block ads! (Why?)



"それを変える" - Google ニュース
December 01, 2020 at 11:17AM
https://ift.tt/2HTsxar

チャンピオンとの出合いが人生を変えたかも?[渋谷直角 男が憧れる、男の持ち物。] - 朝日新聞デジタル
"それを変える" - Google ニュース
https://ift.tt/38cbQ1Z
Shoes Man Tutorial
Pos News Update
Meme Update
Korean Entertainment News
Japan News Update

11월 수출 4%↑…시스템반도체·OLED 사상 최고 - ZD넷 코리아

apakabarharus.blogspot.com
삼성전자가 최첨단 EUV 시스템반도체에 적용한 3차원 적층 기술 .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최첨단 EUV 시스템반도체에 적용한 3차원 적층 기술 . 사진=삼성전자

지난달 수출이 2개월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 반도체·디스플레이·자동차·가전 등 15개 주력 수출품 가운데 10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한 덕분이다. 특히 시스템반도체와 모바일용 중소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비롯해 코로나 진단키트는 사상 최대 수출 기록을 갈아치웠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458억1천만 달러(약 50조7천208억원), 수입액은 398억8천만 달러(약 44조1천551억원)로 집계됐다. 수출은 전년 대비 4% 늘었고, 수입은 2.1% 감소한 것이다.

총 수출액은 2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고, 일평균 수출액도 6.3% 증가하는 등 2년 만에 총 수출액과 일평균이 모두 증가했다. 조업일수가 0.5일 부족했음에도 총 수출이 플러스가 된 것은 32개월 만에 처음이다. 무역수지는 59억3천만 달러(약 6조5천656억원)로 7개월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지난 달까지 누적 무역흑자는 390억 달러(약 43조1천886억원)로 지난해 연간 흑자 규모인 389억 달러(약 43조778억원)를 이미 넘어섰다. 코로나 확산 영향을 받은 지난 2분기 이후로 수출실적이 점차 개선되면서 11월을 기준으로 4분기 수출은 플러스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수출 3개월째 두 자릿수↑…코로나 진단키트도 '효자'

15대 주력 품목 중 ▲반도체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휴대폰) ▲이차전지(전기차배터리) ▲가전 ▲컴퓨터 ▲바이오헬스 ▲자동차 ▲자동차부품 ▲선박 등 10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이 중 6개 품목은 정보기술(IT) 제품이다.

반도체는 수출이 5개월 연속 증가했다. 두 자릿수 증가세는 3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특히, 시스템반도체의 누적 수출액은 역대 최고 실적인 지난 2018년 연간 수치를 넘어서면서 수출 상승세를 이끌었다. 컴퓨터·주변기기로 분류되는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수출도 14개월 연속 증가했다.

산업부는 "서버용 수요가 재고 조정으로 둔화가 예상되지만, 모바일 신제품 출시와 점유율 경쟁에 따른 모바일용 수요 회복으로 메모리·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이미지센서 수출이 증가했다"며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재택근무와 온라인교육의 수요 지속으로 노트북용 반도체 수출도 호조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9월 수출입 동향표. 자료=산업부

디스플레이는 최근 부진을 만회하며 수출 증감률과 수출금액 모두에서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달 26개월 만의 흑자전환 이후 2개월 연속 증가세다. 액정표시장치(LCD)는 OLED로의 사업전환에 따른 생산량 축소로 수출은 소폭 줄었다. 반면, OLED는 노트북·TV용 수요 확대와 신규 스마트폰 출시 덕분에 사상 최고 수출액을 기록했다.

무선통신기기는 휴대폰과 휴대폰부품 모두 수출이 증가하며 4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산업부는 "길어지는 스마트폰 교체 주기와 국내기업 중저가 제품군 확대로 국내생산 비중이 높은 '플래그십 라인업' 출하량이 감소 추세"라면서도 "세계 2위 스마트폰 시장인 인도에서 국내 기업이 점유율 1위를 달성하면서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설명했다.

또 주목할 것은 7대 신(新)수출성장동력 품목인 바이오헬스·이차전지·화장품·농수산식품·플라스틱제품·정밀화학원료·로봇 수출이 같은 기간 모두 흑자를 기록했다는 점이다. 특히, 바이오헬스는 15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며 호조세를 이었다. 지난 4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코로나19 진단키트는 최근 실적인 10월 수출액이 9월에 이어 2달 연속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달 주요 품목별 수출 증감률. 자료=산업부

코로나 확산에 석유제품은 부진…성윤모 "수출기업 애로사항 적극 해소"

자동차 수출은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친환경차 수출비중 증가로 1년 만에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선박 수출은 주력 선종인 액화천연가스(LNG) 등의 수출 통관 호조 덕분에 4개월 만에 증가했다. 가전 수출은 미국 등 주요시장의 성수기에 따른 TV 수요 확대와 유럽에서의 비대면 판매 강화로 5개월 연속 증가했다.

다만,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석유제품은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 23개월 연속 수출 적자를 이어갔다. 석유제품은 저유가 영향으로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이다. 또 일반기계, 철강, 석유화학, 섬유 등의 수출도 한 자릿수대 감소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지난 9월 7개월 만에 우리 수출이 플러스로 반등한 이후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고, 특히 이번 달은 총 수출과 일평균 수출이 2년 만에 모두 증가했다"며 "지난달은 전년 대비 조업일수가 부족한 가운데서도 수출이 증가한 것은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어 "주력 품목인 반도체·자동차가 최근 수출 회복을 든든히 뒷받침하고 있고, 비대면경제 특수와 우리 산업의 경쟁력이 시너지를 발휘해 IT 품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점은 앞으로의 수출 활력 회복에 긍정적인 신호"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성 장관은 "질적인 성장도 눈에 띄는데, 전기차·OLED 같은 고부가가치 상품 수출이 이번 달에만 25%이상 증가했다"며 "중소기업 중심의 코로나19 진단키트, 화장품, 가공식품 등 신성장 품목도 연간 기준으로 역대최고 실적을 기록하며 수출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는 측면은 수출 펀더멘탈이 탄탄해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

그는 "지난달 발표한 '수출 디지털 전환대책'을 통해 우리 수출 시스템의 디지털·온라인화와 이를 통한 무역구조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관계부처가 힘을 모아 대책을 꼼꼼히 이행해 나갈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의 수출동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수출입 물류차질 등 수출기업의 애로사항도 적극적으로 파악하고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Let's block ads! (Why?)

기사 및 더 읽기 ( 11월 수출 4%↑…시스템반도체·OLED 사상 최고 - ZD넷 코리아 )
https://ift.tt/3llehox
비즈니스

무역흑자 벌써 지난해 전체 넘어…진단키트·이차전지가 견인차 - 한겨레

apakabarharus.blogspot.com
산업부, 11월 수출입동향 발표
자료: 산업부
자료: 산업부
지난달 수출이 한달만에 증가세로 돌아서며 올해 누적 무역수지가 지난해 전체 흑자규모를 이미 넘어섰다. 코로나19 여파 속에 진단키트와 함께 이차전지 수출이 증가하면서 견인차 구실을 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11월 수출입동향’을 보면, 지난달 수출은 458억1천만달러(50조826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견줘 4.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수출은 코로나19 여파로 지난 3월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폭을 보여오다가, 지난 9월에 증가세로 돌아선 뒤 징검다리 증가폭을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여파 속에서 하루 평균 수출액도 전년대비 6.3% 늘어나 2018년 11월 이후 2년만에 총수출액과 일평균 수출액이 모두 증가했다. 지난달 수입액은 398억8천만달러로 집계돼 무역수지는 59억3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최근 7개월 연속 흑자를 내고 있다. 올초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었던 수출은 최근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세달 연속 수출액 400억달러 이상, 일평균 19억달러 이상, 무역수지 흑자 50억달러 이상의 성적을 내고 있다. 올해 11월까지 전체 무역수지가 390억달러 흑자를 기록해 지난 한해 흑자규모(389억달러)를 이미 넘어섰다. 지역적으로는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아시아 등 4대 시장에서 총수출과 일평균 수출액이 3년만에 동시에 플러스 반등했다. 특히 코로나19 진단키트를 포함한 바이오헬스 분야와 2차전지 등 정부가 7대 신수출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는 품목 수출이 증가세를 보이며 수출 회복세를 이끌고 있다. 바이오헬스가 지난해 같은 기간 수출대비 78.5%가 증가했고, 선박·가전·디스플레이 등도 20~30%대 성장세를 보였다. 농수산 가공식품이 지난달 8억3천만달러를 수출하며 월별 역대 최고 수출액 기록을 세웠고, 화장품은 20%대 수출이 증가하며 11월까지 누적 수출액으로 지난해 총수출 규모를 넘어섰다. 15대 주력수출 품목 가운데에서도 반도체(16.4%), 디스플레이(21.4%), 무선통신기기(20.2%), 2차전지(19.9%) 등 10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이에 대해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이날 “주력상품인 반도차와 자동차가 수출회복을 든든히 뒷받침하고, 비대면경제 특수와 아이티 관련 품목들이 상승세를 보이는 점은 수출 활력 회복에 긍정적인 신호”라며 “어렵게 회복한 불씨가 꺼지지 않고 혁신 동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수출시스템의 디지털화 등 무역구조 혁신 대책을 꼼꼼히 이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Let's block ads! (Why?)

기사 및 더 읽기 ( 무역흑자 벌써 지난해 전체 넘어…진단키트·이차전지가 견인차 - 한겨레 )
https://ift.tt/36pY6Ce
비즈니스

[외환-오전] 달러 약세 따라 상승폭 축소…1103.95원 0.75원↑ - 한국금융신문

apakabarharus.blogspot.com [한국금융신문 이성규 기자] 달러/원 환율이 달러 약세와 달러/위안 하락에 맞춰 상승폭을 줄여가고 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30일 달러/원 환율은 오전 11시 10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0.75원 오른 1,103.9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달러/원은 개장 초 단기 급락에 따른 저가성 결제 수요 유입에 오름세를 나타냈으나, 장중 달러인덱스 하락에 이은 달러/위안 하락 움직임에 상승폭을 줄여가고 있다.

여기에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감소와 코로나19 백신 긴급 사용승인 가능성 등도 달러/원 상승에 발목을 잡았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신규 확진자 438명 늘었다. 이틀째 400명대를 기록한 것이다.

이는 지난 26~28일 500명대를 넘어선 것보단 줄어든 것이지만, 주말 검사 건수가 감소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이 미국에서 긴급승인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유럽 의약품청(EMA)도 다음 달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승인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이달 중국 제조업 및 비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일제히 예상치 상회한 점도 시장 내 위험자산 선호 분위기를 다시 끌어올렸다.

중국 국가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11월 제조업 PMI는 전월 51.4에서 52.1로 상승했고, 이는 예상치 51.5를 넘어선 결과다. 11월 비제조업 PMI도 56.2에서 56.4로 올라 예상치 56.0을 웃돌았다.

중국 경제지표 개선에 달러/위안 환율도 상승폭을 축소하며 달러/원 상승에 브레이크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외국인 주식 투자자들이 차익 실현성 대규모 순매도를 나타내면서 환시 내 수급은 공급 우위 현상을 이어가고 있다.

같은 시각 역외시장에서 달러/위안 환율은 6.5729위안을 나타내고 있고, 달러인덱스는 0.12% 떨어진 91.68을 기록 중이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시장에서만 4천438억원 어치 주식을 순매도하고 있다.

■ 역내외 관망세 속 외인 주식 순매도 강화
서울환시 역내외 참가자들은 시장 내 호재와 악재가 상존하자 적극적인 포지션 설정은 자제하고 있다.

현재 달러/원 환율은 업체와 외국인 주식 수급에 따라 움직임을 정하는 분위기다.

이날 외국인 주식 순매도가 급증하며 서울환시에 수요가 넘치고 있지만, 달러/원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코스피지수는 개인 매수세에 점차 낙폭을 줄이고 있는 데다, 달러 약세에 따른 달러 매도 물량 역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A 은행의 한 딜러는 "외국인 주식 순매도 강화로 달러/원의 상승 압력이 유지되고 있지만, 백신 재료와 달러 약세 요인으로 달러/원의 상승 역시 위축되는 모습"이라면서 "역내외 시장참가자들이 적극적으로 포지션 설정에 나서지 않는 이상 달러/원의 움직임은 보합권 수준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오후 전망…1,105원선 아래서 강보합권 횡보 지속
오후 달러/원 환율은 1,105원선 아래서 대체로 머물 것으로 예상되지만, 현재 강보합 흐름은 장 후반까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인 주식 순매도 강화로 시장 수급 자체가 수요 우위 상태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역외 달러/위안 환율이 PMI 호재와 이에 따른 중국 주식시장 상승, 달러인덱스 하락에 추가 하락을 시도한다면 달러/원의 상승폭은 다소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미 행정부가 중국 기업 2곳을 블랙리스크에 추가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달러/위안의 하락 역시 위축되고 있다.

이날 미 행정부는 중국 반도체 회사인 SMIC와 국영 석유회사인 CNOOC를 국방부 블랙리스트 올렸다.

B 은행의 한 딜러는 "외국인 주식 순매도 급증과 함께 달러/위안 추가 하락이 제한되고 있어 달러/원의 상승폭 축소가 여의치 않아 보인다"면서 "백신 호재와 중국 경제지표 개선 등 호재성 재료 역시 시장 수급에 밀려 달러/원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성규 기자 ksh@fntimes.com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Let's block ads! (Why?)

기사 및 더 읽기 ( [외환-오전] 달러 약세 따라 상승폭 축소…1103.95원 0.75원↑ - 한국금융신문 )
https://ift.tt/33NqRav
비즈니스

ガラッと変えたほうがいい? 変えないほうがいい?? どっちがいいんだフルモデルチェンジ論 - ベストカーWeb

 クルマがモデルチェンジを果たす際、誰もが注目し期待するのが、デザインがどのように、どれだけ変わったか、だろう。

 しかしこれは本当に難しい問題だ。新たなモデルを生み出す側としては、前モデル(あるいはそれより先代)のイメージを損なわないよう継承しつつ、新しい部分も見せなければならない。

 結果、あまりの変わらなさに「大丈夫か??」なんて声が飛び出したりもすれば、三菱デリカD:5のようにマイナーチェンジながら大胆に変貌を遂げしかもウケがいい、なんてケースだってある。

 ここでは、そんなデザイン面での「いいモデルチェンジ・うーんなモデルチェンジ」について考えてみたい。

【画像ギャラリー】人気現行モデルから物議を醸した名車まで モデルチェンジの変遷を写真でみる

※本稿は2020年8月のものです
文/ベストカー編集部、写真/ベストカー編集部 ほか
初出:『ベストカー』 2020年9月10日号


■「代わり映えがしない」は悪なのか

 せっかくフルモデルチェンジしたのに、「なんかあんまり変わり映えしないな~」って思っちゃうクルマがある。

 最近だとハスラー。よく見りゃサイドのリア回りやら違うんだけど、パッと見た印象がそっくり。もちろん、それが狙いってことはわかっちゃいるけど……。

スズキ ハスラー(旧)
スズキ ハスラー(新)…リアドアの後方、Cピラーが大きな違いで、さらに新型のホイールベースは35mm長い!

 N-BOXやタントもパッと見、ほとんど「間違い探し」ですよ、実際。

ホンダ N-BOX(旧)
ホンダ N-BOX(新)…フロントフェンダー上部のアーチ形状の違いと、ボンネットフードの開口ラインが新旧の識別点となる

 ディテールは違っているし、むしろ「見た目の印象を変えずに新しさを出す」のって、デザイナーとしてはものすごく大変で、腕の見せどころなんだろうけど、乗り換えようかと迷うユーザーにしてみれば、「うーん、新味がない!」って思っちゃう。

 そんなモデルチェンジを「キープコンセプト」なんていうけれど、ここでいうコンセプトはデザインコンセプトのこと。

 いっぽう、車両コンセプト自体は「キープコンセプト」ながら、ガラリとデザインを変化させてくるクルマもある。マーチなんかそのパターンの代表格だ。

日産マーチ(初代:1982~1992年)
日産マーチ(2代目:1992~2002年)
日産マーチ(3代目:2002~2010年)
日産マーチ(4代目:2010年~)…初代登場は1982年の日産マーチ。38年も経つのにまだ4代目という、各モデルのライフの長さも特徴的。1モデル10年程度というモデルチェンジサイクルのためか、時代に合わせて各世代、デザインはガラリと変わっている

 マーチ、1世代のライフが10年程度と長いこともあるんだろうけど、各世代、見た目の連続性を感じさせない。

 コンパクトハッチバックという基本コンセプトは維持しながら、毎度モデルチェンジのたびに先代のイメージを打ち消すかのようにガラリと雰囲気を変えてくるのはお見事だ。

■時代を反映するモデルチェンジも

 デザインがガラリと変わっても、例えばシビックのように、ポジションというか、クルマの基本コンセプトが時代とともに変化していったクルマは、そりゃデザインどころかサイズや車形自体が変わったんだから「別のクルマ」。

 インサイトなんて、3世代あるけど、それぞれ基本コンセプトが違うんだから、まったく違ったクルマになって当然ってこと。ありゃ、名前だけが同じで、モデルとしては別ものだ。

ホンダ インサイト(初代:1999年登場)…インサイトは3世代のモデルに使われているが、現実的には各世代、それぞれコンセプトがまったく異なっており、→
→しかも「モデルチェンジ」ではなく、各世代が違うモデルとして誕生し、「インサイト」という同じ名前が与えられているということ。世代ごとにいったん名前は途切れているし……(写真は2代目:2009年登場)→
→初代は2ドアハッチバックの燃費追求スペシャルモデル、2代目はプリウス対抗の5ドアHB、そして2018年に登場した現行型は4ドアサルーンとなった(写真は3代目:2018年登場)

 そんななか、基本コンセプトを比較的キープしながらも、デザインのイメージをうまいこと変化させているのが最近のトヨタ車に多い。

 クラウンやカムリ、ハリアーなどは見た瞬間「おッ、新型!」と思える変化を見せている。

トヨタ カムリ(旧)
トヨタ カムリ(新)…新型は圧倒的にスタイリッシュだ!
トヨタ ハリアー(旧)
トヨタ ハリアー(新)…新型はグリルが薄くなった

 クラウンは印象的なグリルを採用するフロントマスクこそ先代を受け継いでいるが、ラウンドしたルーフの低さや、6ライトのサイドビューなど、これまでのクラウンとの違いをアピールしている。

トヨタ クラウン(旧)
トヨタ クラウン(新)…顔は似ているけどCピラーのラインが違う!

■対照的だったフィットとヤリスのモデルチェンジ

 4代目となるフィットはこれまで3代、約20年にわたりキープコンセプトのモデルチェンジをしてきたが、今年登場した4代目は見た目の雰囲気をガラリと変えた。

ホンダ フィット(初代:2001~2007年)
ホンダ フィット(2代目:2007~2013年)
ホンダ フィット(3代目:2013~2020年)
ホンダ フィット(4代目:2020年~)…初代デビューは2001年で、最近登場した現行型が4代目。センタータンクのフラットフロアでダイブダウンするリアシートというユーティリティを追求する基本コンセプトは一貫しているが、デザインは変化した

 一見して新型フィットとわかるエクステリアだが、「ユーティリティを追求したコンパクトカー」という車両コンセプトは初代以来不変である。

 一方ヤリスは、先代までのヴィッツ、さらにそれ以前はスターレットだった名称を一新するとともに、ニッポンのコンパクトカーに欠かせないユーティリティ性をあえて捨ててスポーティ性に割り切った。

トヨタ ヴィッツ
トヨタ ヤリス…意外と似ている!?

 つまり車両コンセプトを一新し、名前も変えたんだけど、なーんか、パッと見た雰囲気が前型ヴィッツに似ているんだよね。

 いや、ヴィッツとヤリスは全然違うんだよ。それはわかっているんだけど、一瞬「あれ、今のヤリス? ん? ヴィッツだった?」ってなる。

 フィットは一発で新旧見分けられるもん。

 どっちがいいって話じゃないけど、やっぱり新型に乗るんだったら「おっ、新型もう乗ってる!」って注目されたいってのが本音だな。

■変えようがない?? MINIシリーズの不変性

 これまた見分けが難しいMINI。もっともクラシックMINIをオマージュした造形こそが現代のMINIなのだから、変えようがないというのが実際のところ。フロントグリルなど、デザインの洗練度は先代のほうが高いかな。

MINI(旧)
MINI(新)

■ポルシェ911は変わらないことが魅力!?

 930型や964型時代には「違い」がわかりやすかったポルシェ911だが、ここ最近の997→991→992型になると、ちょっと見分けが難しくなってきた。ま、この形こそが「ポルシェ911」なんだけどね!

ポルシェ 997
ポルシェ 991
ポルシェ 992

■カローラはある意味原点回帰のフルモデルチェンジ

 全幅が1700mm以上に拡幅され3ナンバーとなったり、ラウンドしたルーフラインなど大きくイメチェンしたカローラ。でも、ある意味、カローラの基本コンセプトって「若者に向けた走りのいいクルマ」だったはず。原点回帰かもしれない。

トヨタ カローラ

【画像ギャラリー】人気現行モデルから物議を醸した名車まで モデルチェンジの変遷を写真でみる

Let's block ads! (Why?)



"それを変える" - Google ニュース
December 01, 2020 at 09:00AM
https://ift.tt/3lnbOtJ

ガラッと変えたほうがいい? 変えないほうがいい?? どっちがいいんだフルモデルチェンジ論 - ベストカーWeb
"それを変える" - Google ニュース
https://ift.tt/38cbQ1Z
Shoes Man Tutorial
Pos News Update
Meme Update
Korean Entertainment News
Japan News Update